-
[비공개] 전기자동차의 미래
美, 2011년에는 이런 산업이 뜬다 - 전기자동차의 미래 - 한미 FTA 이후 그린카에 대한 소비자와 정부의 니즈 높아질 듯 - - 배터리와 충전시설이 전기차 성장의 걸림돌로 작용 - □ 개요 ㅇ 최근 한미 FTA 수정안에서 전기차 관련 관세를 점진적으로 완화키로 하는 등 미국정부는 전기자동차를 실업률 극복및 미래성장 동력의 핵심산업으로 육성하는 분위기 ㅇ 테슬라모터스의 캘리포니아 공장 오픈과 함께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심 고조 ㅇ 2011년까지 6개 대형 자동차 생산업체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와 전기자동차 출시 예정으로 전기자동차 시장은 계속 늘어날 전망 □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ㅇ 높은 성장률 - 미국의 그린카 시장은 환경문제, 불안정한 유가, 기술발전으로 인해 계속해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함. - 도심 교통 버스 운전사들의 대체연..추천 -
[비공개] 중국투자뉴스제225호
▣ 금주 포커스 - 지표로 보는 10월 중국경제 ▣ 전문가 칼럼 - 등록자본금에 관하여 ▣ 경제통상 뉴스 [정책동향] - 中 베이징, 신에너지 차 구입 시 보조금 지급 - 中, 희토류 관리에 할 말 있다 [경제동향] - 중국경제 평가와 전망 (1) 2010년 실적 평가 중국경제 평가와 전망 (2) 2011년 환경 전망 [상품·산업동향] - 中 장강삼각주, 주력 업종별 수입의존도가 높은 품목은? - 2011년 중국 자동차시장 전망 ▣ 유력기업 구매정보 - 폐기물 처리 제품 수입 희망 ▣ 투자진출 A to Z [노동관계] - 자원 사직자의 노동관계종료증명서 발급요구 ▣ 공지사항 - 「2010 중국 취업박람회」참가 안내 - KOTRA 청두(成都)수출인큐베이터 이용 안내 - “중국 유통시장 진출 상담회” 참가업체 모집안내 - 호북성 프로젝트 및 산업이전 설명회 # 첨부 :중..추천 -
[비공개] 중국투자뉴스제224호
▣ 금주 포커스 中 지준율 또 올려 ▣ 경제통상 뉴스 [경제동향] - 올해 중국 경제·사회 이슈는 이것! - 중국 기업, 해외투자 급류 타고 급성장 [상품·산업동향] - 中 장강삼각주 대표산업, 잘 팔리는 상품은? - 중국, 고속철로 공간적 제약 뛰어 넘는다 ▣ 유력기업 구매정보 - 사탕류 수입 희망 등 ▣ 투자진출 A to Z - 사회보험 납부년도 미달로 법정퇴직 조치 곤란 시 대책은? ▣ 공지사항 - 「2010 중국 취업박람회」 참가 안내 - 중국 사기의심 업체 주의요망 - KOTRA 청두(成都)수출인큐베이터 이용 안내 # 첨부 :중국투자뉴스 제224호(PDF) 중국투자뉴스제224호(101126).pdf추천 -
[비공개] 도시 광산업 중요성 증대, 희토류 회수기술 개발도 한창
일본, 본격적인 자원 재사용 위한 체계적 토대 구축 - 정부, 효율적 자원 재활용을 위한 법적 가이드라인 등 제도적 기반 조성 - - 도시 광산업 중요성 증대, 희토류 회수기술 개발도 한창 - □ 일본 정부, 효율적 자원 재활용을 촉진하는 법적 가이드라인 제정 ○ 일본 정부는 1991년부터 「자원의 유효한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리사이클법)」을 제정해 운영하며, 가장 최근에는 이와 관련해 2006년 ‘자원의 유효한 이용 촉진에 대한 기본 방침’(재무성·후생노동성·농림수산성·경제산업성·국토교통성·환경성 고시 1호)을 수정 고시하고 지금까지 운영함. - 이 고시는 원재료 사용의 합리화에 관한 목표, 재생자원 및 재생부품 이용에 관한 목표, 제품의 장기간 사용 촉진에 관한 사항, 자원의 유효한 이용 촉진과 관련한 지식 보급, 사업자 및 소비자 ..추천 -
[비공개] 중국경제의 딜레마, 성장이냐 구조개혁이냐?
중국 제12차 5개년 계획의 골격 □ 개요 - 중국 경제는 지금까지 30년간 연평균 10%의 성장을 지속해옴. 그러나 중국은 경제대국이지만, 경제 강국은 아님. 1인당 GDP도 여전히 4,000달러 미만이고, 산업기술력 강화가 경제규모 확대에 비해 대폭 늦어지고 있음. □ 성장 편중 정책의 문제점 - 최근 중국 정부의 경제정책과 전략은 주로 성장에 기울어졌음. 성장 지향의 정부 정책 목표와 지방 정부의 실적 지향주의적인 행태는 경제구조에 큰 왜곡을 가져옴. 일례로 경제성장은 지속되고 있지만, 경제 효율이 올라가지 않음. 지방 정부가 주도하여 중 소규모의 제철소나 화학플랜트를 설립했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은 낮아지는 한편, 환경공해 문제가 점차 심각해지고 있음. -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지향하려면 성장 편중 정책을 바꿔 균형 잡힌 성장 ..추천 -
[비공개] 유럽, 아일랜드 사태 등 위기 타개를 위한 5가지 시나리오
유럽, 아일랜드 사태 등 위기 타개를 위한 5가지 시나리오 -유럽중앙은행 이사회 회동 이후 신규 방침 나올지 주목 - - 전문가별로 상이한 해석 및 예측을 바탕으로 5가지 시나리오 등장 - □ 그리스에 이어 아일랜드까지, 재정위기로 시작된 유로존 위기 여파에 전전긍긍 ○ 그리스에 이어 아일랜드까지 위기 타개를 위한 구제금융을 받게 됨으로써 나머지 위험국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상황 오늘 유럽중앙은행 이사회가 개최되는 가운데 새로운 방침이 협의될지에 관심이 모아짐. 아일랜드 사태 이후 전개방향과 향후 전망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이 나뉘는 현 시점에서 프랑스 경제지 라트리뷴지가 유럽 현 위기 타개를 위한 5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해 눈길을 끌고 있음. □ 시나리오 1 : 기존의 구제금융 방침을 유지하되 지원 가능액은 배로 증가..추천 -
[비공개] 메릴린치 글로벌 리서치 - 2010.12. 2
▶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을 참조하세요.^^ 45421_41.pdf 자료 : 메릴린치추천 -
[비공개] 해외에너지정책동향 2010 (Issue 47)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파일로 이동합니다. 단, PDF 파일을 볼 수 있는 Viewer 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본 블로그 사이드바의 문서뷰어 아이콘 모음을 클릭하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링크로 이동합니다. □ NEWS 일본, 원자력 정책 재검토 도시바, 몽골 기업과 자원개발 협의 호주, 탄소세 법안 처리 결정 미국, 연안 풍력 발전에 대한 촉진책 발표 멕시코 Pemex, 인센티브에 기초한 유전개발 계약 승인 아부다비 및 카타르, 온실가스 배출 감축사업 추진 EU, 주요 재생에너지 개발에 1.2십억 유로 투자 예정 러시아, 에너지 효율향상 기술에 $300십억 투자 IEA, '09년 세계 화석에너지 보조금 $312십억 추정 □ ANALYSIS 영국, 대규모 파력발전 프로젝트 추진 □ REPORT 남아프리카 지역의 가스 잠재성..추천 -
[비공개] 중국 온라인쇼핑몰 이용자 급증
中 온라인쇼핑몰, 소비재의 주요 유통경로로 부상 - 타오바오망(淘寶網)이 전체 시장의 80% 이상 차지 - - 80后, 90后 중심으로 이용자 수 급증 - □ 2010년 3분기 온라인쇼핑 시장규모 1210억 위안 ○ 아이리서치(IResearch)가 발표한 ‘2010년도 3분기 중국 온라인쇼핑몰시장 모니터링 보고서(2010年第三屆度中國網絡購物市場監測報告)’에 따르면 2010년 3분기 중국의 온라인쇼핑몰 시장의 규모는 약 1210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76.9%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음. ○ 아이리서치는 향후 중국의 B2C시장의 거래규모가 전체 온라인쇼핑몰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질 것이라고 예측함. 또한 타오바오(淘寶), 파이파이(拍拍) 등의 오픈마켓들은 기존의 C2C방식에서 벗어나 B2C방식으로 전환하고 개인이 설립한 온라인쇼핑몰도 현재 기업화되는 추세임. 주 : 1) 온라인..추천 -
[비공개] 월드컵 개최지 결정 발표
월드컵 개최지 결정 발표 - 2018년 러시아, 2022년 카타르 - 2022년 월드컵 개최지, 중동의 카타르 □ 2018년 러시아, 2022년 카타르에서 월드컵 열려 ㅇ12월 2일(목)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린 2018년, 2022년 월드컵 개최지 결정 투표결과가 나왔다. 2018년 월드컵은 러시아에서, 2022년은 카타르에서 열린다. 우리나라가 참여한 2022년 월드컵 유치희망국가는 우리나라를 비롯해미국, 호주, 카타르, 일본 등 5개국이 각축을 벌였다. ㅇ 11월 30일 밤 취리히 공항에는 우리나라 김황식 총리를 비롯, 미국 클린턴 전 대통령, 영국 축구선수 베컴, 러시아 이신바예바 등 정계, 스포츠계 유명인사를 중심으로 각국 월드컵 유치단이 속속 도착해 열띤 취재경쟁이 벌어졌다. □ 카타르 분쟁지역인 중동 최초 개최 내세워 유치성공 ㅇ 카타르의 유치성공은 현지 언론에도 의외..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