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공개] 중국투자뉴스제228호
▣ 금주 포커스 - 2011년 중국경제 내우외환 변수 ▣ 경제통상 뉴스 [정책동향] - 中, 외자 독자 의료기관 설립 점진적 허용 [경제동향] - 中 쟝쑤성 및 난징 경제 주요 현황과 특징 - 달라진 중국의 소비 트렌드 [상품·산업동향] [녹색산업기술] - 중국의 대체에너지 분야별 기술 강점과 약점 - 중국 바이오매스산업 현주소 ▣ 유력기업 구매정보 - 침구류 수입 희망 ▣ 투자진출 A to Z [공회] - 외국인 직원도 공회경비 납부대상인가? ▣ 공지사항 - KOTRA 청두(成都)수출인큐베이터 이용 안내 중국투자뉴스제228호(101224).pdf추천 -
[비공개] 태양광에너지 중국 대표 기업은?
태양광에너지 중국 대표 기업은? - 우시샹더, 티엔웨이잉리, 티엔허광능등이 대표적 - □ 우시샹더(無錫尙德) ○ 우시샹더(無錫尙德) 태양열전력유한공사는 시정롱(施正榮) 박사가 2001년 1월 설립한 기업으로 연구개발, 생산, 판매하는 첨단기술 태양광발전기업임. -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 부품, 태양광발전 응용제품 등 연구, 제조, 판매를 위주로 하며 전 세계 최대 규모의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 생산 업체임. - 2005년 12월 중국민영기업 최초로 뉴욕증시에 상장됨. - 베이징, 상하이, 샌프란시스코, 동경, 뮌헨, 로마, 마드리드, 샤프하우젠, 서울, 시드니 등에 사무소를 두고 있음. - 중국 우시(無錫), 뤄양, 칭하이, 상하이 및 일본 나가노 둥 5개 지역에 생산기지가 있음. - 2008년 전 세계 태양전지 시장점유율이 7.3%로 FIRST SOLAR 기업의 시장점유율..추천 -
[비공개] 중국 '2011년 관세 실시방안’ 주요 내용
中 2011년 관세 어떻게 달라지나 - ‘2011년 관세 실시방안’ 주요 내용 - - 국무원관세세칙委, 1월 1일부 적용 - 사진 : baidu.com 1. 수입관세 □ 최혜국세율 ○ 2011년 중국은 밀 등 8개류 45개 세목의 물품에 대해 관세쿼터관리를 지속 실시하며 세목과 세율은 현행과 동일 *[첨부1] ‘관세쿼터물품 수입세율표’ 참조 - 쿼터 초과 수입 물량의 면화에 대해 활척관세(sliding tariffs)를 적용 - 요소, 복합비료, 인산제2암모늄 등 3종의 화학비료에 대해 1%의 잠정쿼터세율 적용 ○ 감광재료 등 55종 물품에 대해서는 종량세 및 복합세를 지속 적용 *[첨부2] ‘수입물품 종량세 및 복합세 세율표’ 참조 - 필름세목 8개 품목의 종량세율을 조정 ○ 9개 정보기술제품에 대해서는 세관의 검사와 확인관리를 지속 실시하며 세목과 세율은 현행 유지 ○ 기타 최혜국세율..추천 -
[비공개] 중국투자뉴스제227호
▣ 금주 포커스 - 中 중앙경제공작회의 핵심내용 예측 ▣ 경제통상 뉴스 [정책동향] - 대만, 两岸三通에서 ECFA, 그리고 FTA까지(상) - 대만, 两岸三通에서 ECFA, 그리고 FTA까지(하) [경제동향] - 中 소비자물가 5% 돌파 - 中 지준율 0.5%p 인상 [상품·산업동향] - 中, 팽이버섯 공급 부족 심각 - 홍콩 화장품시장의 모든 것 ▣ 유력기업 구매정보 - 장류 수입 희망 ▣ 투자진출 A to Z [잔업] 토요일 출근 의무화시, 법적 리스크 ▣ 공지사항 - KOTRA 청두(成都)수출인큐베이터 이용 안내 중국투자뉴스제227호(101217).pdf추천 -
[비공개] 수소 자동차의 꿈, 하와이에서 이루어진다
美 수소 자동차의 꿈, 하와이에서 이루어진다 - “하와이 수소 프로젝트“ 추진으로 2015년까지 수소 충전소 설치 계획 - - 수소연료 인프라 구축으로 수소 자동차 및 관련산업 대폭 확장 전망 - □ 수소 자동차의 꿈을 현실로 이끌 “하와이 수소 프로젝트” 공식 런칭 ○ 미 상무부와 에너지국을 포함한 3개 정부 부처가 지원하는 “하와이 수소 프로젝트(H2I)”에 미 대표 자동차회사 GM과 하와이 호놀룰루 지역 가스회사인 The Gas Company(TGC)가 공동으로 참여할 예정 - 수소 연료 인프라 구축과 수소 자동차 보급이라는 두 가지 목표 달성을 위해 지난 12월 9일 공식 런칭한 이 프로젝트로 하와이 오아후섬에 2015년까지 총 20~25개의 수소 충전소가 설치될 예정.(아래 그림 참고) - GM과 TGC를 비롯해 총 10개의 관련 업체와 대학교, 연구소 등이 프로젝트에 참여..추천 -
[비공개] 2011년 중국의 3대 정책이슈와 그 해법 등..
▶ 이번 32호에서는 12차 5개년 규획의 첫 해인 2011년을 앞두고, 중국 현재 직면하고 있는 전략적인 난제들이 무엇이며, 중국 정부는 그 해법을 어떻게 찾고 있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전략성 신흥산업 육성 방안, 도시화 속의 삼농(三農)문제, 환율제도 선택 문제 등 세 가지 이슈를 중심으로 중국 전문가들의 견해와 분석을 담아낸 글들은 중국의 정책과제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중국 트렌드’로는 지난 30년간 실시되어온 한자녀 정책의 공과(功過) 논란을 생생한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산아제한 정책의 역사적 배경과 최근에 유명무실화되고 있는 현실을 소개했습니다. < 목 차 > - 現場專家 : 2011년 중국의 3대 정책이슈와 그 해법 - China Trends 38 : 흔들리는 한자녀 제도 - 中國經濟 關注數字 - Graphic 中國經濟 : ..추천 -
[비공개] 신장섭 교수의 '금융전쟁, 한국 경제의 기회와 위험'
'금융전쟁 속의 한국경제 - 세계금융위기 이후의 좌표' □ 신장섭 교수(싱가포르 국립대 경제학과)가 올 봄 강연한 내용입니다. 강연 내용은 5부로 진행되며, 전체 내용이 녹취된 것이라 시간이 49분 쯤 됩니다. 파일을 분할해도 01'_파일이 28분 가량, 02'_파일이 20분 정도 되네요.ㅠㅠ mp3파일로 압축해도 용량이 "13.9MB"나 되더군요. 이번에 파일을 정리하면서 발견해 올려 놓습니다. 1. 몸통이 꼬리를 흔든다. - 투기가 몸통이고 펀더멘털은 꼬리에 불과하다. 2. 돈은 신흥국에서 선진국으로 흐른다. - 신흥국에 돈이 들어오는 것보다 빠져나가는 것이 훨씬 쉽다. 3. 버블은 터지기 마련이고 새로운 버블을 만들어서 해결한다. - 버블 만들기"가 자본주의 발전과정이다. 4. 음모론을 믿어라. - 어느 음모론을 믿을지가 중요할 뿐이다. 5. 성장률 숫자에 현혹되..추천 -
[비공개] 해외에너지정책동향 2010 (Issue 50)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파일로 이동합니다. 단, PDF 파일을 볼 수 있는 Viewer 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본 블로그 사이드바의 문서뷰어 아이콘 모음을 클릭하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링크로 이동합니다. □ NEWS 말레이시아, 원전 2기 ’16년 입찰 예정 일본-터키, 원자력 협력 중국-파키스탄, 협력 확대 에너지계획 지원 인도-러시아, 원자력 및 에너지분야 협력 DOE, 세계 최대 규모 풍력발전소 건설지원 캐나다, 북극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건설 승인 요르단, ’11년 1월에 원전 최종입찰 EU, 가스시장 모델 구축 □ ANALYSIS 브라질, 암염하층 심해유전 개발 가속화 폴란드, 천연가스 공급원 다변화 추진 □ REPORT 덴마크, 스마트그리드 도입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추천 -
[비공개] 중국 태양광 산업 동향
중국 태양광 산업 동향 - 중국 태양전지 생산량 세계 1위 - - 태양전지 및 부품의 절반가량 장쑤성에서 생산 - □ 중국, 태양전지 생산량 세계 1위 ○ 중국은 전국 국토 면적의 2/3가 연간 일조시간 2200시간 이상, 연간 총 일사량 5000kcal/㎡로 태양광 에너지가 매우 풍부하며 태양광 발전 잠재력이 높음. - 2008년 중국의 태양광 산업은 경제불황 속에서도 30%의 성장률을 보임. - 2009년에는 태양전지 생산량이 전년대비 93% 증가한 3850㎿로 빠른 성장을 보였으며 생산량이 전 세계 1위임. ○ 2008년 말까지 폴리실리콘 원료 생산기업이 37사, 실리콘 잉곳 생산기업 143사, 실리콘 칩 생산기업 138사, 태양전지부품 생산업기업이 357사에 달하는 등 기업 간 경쟁이 매우 치열함. - 태양광 응용제품 생산공장은 1000여 개에 달함. 중국의 태양전지 생산량 자료원 : CCID □ ..추천 -
[비공개] 급속히 성장하는 풍력 발전 - 미국
美, 급속히 성장하는 풍력 발전 - 정부의 꾸준한 보조금 지급 등 정책적 지지 뒷받침 - - 2015년까지 미국 GDP 예상 성장률 대비 산업부가가치 39.2% 성장 예상- 유망 사유 : 미국 정부의 세금 보조 및 기타 보조금 지급 등의 정책적 지지에 힘입어 IBIS World에 따르면, 미국 풍력발전산업은 2005년에서 2010년 사이에 매년 평균 22%의 성장률을 보이며 급속히 성장했을 뿐 아니라, 향후 2015년까지 미국 GDP 예상 성장률인 1.9%에 대비 상당한 증가인 39.2%의 산업 부가가치 상승을 보일 것으로 예상돼 유망 □ 미국 풍력발전 개요 ○ 리서치 회사인 IBIS World에 따르면, 빠르게 성장하는 풍력발전산업은 미국 내 풍력발전에 적합한 곳곳에서 작지만 기술력이 뛰어난 혁신적인 회사들이 주가 돼 발전해 왔으며, 산업 평균 성장률은 2005년 에서 2010년 사이에 연 평균 22%,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