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공개] 티스토리에 카운터가 있는 구글 버즈Buzz 공유버튼 추가하기 최신 방법
구글에서 버즈 API를 이용한 자체의 공유버튼과 follow용 버튼을 발표하면서 이제는 구글 버즈로 글을 공유할 수 있는 버튼을 각종 사이트나 블로그에 추가하기가 훨씬 쉬워졌다. 라이프해커 블로그와 같이 카운터가 있는 구글 버즈 공유버튼을 달려면 이곳에 가서 html 코드를 생성시키면 된다. 생성된 코드에 약간의 변화를 준 부분이 있다면 url에 nofollow속성을 추가시킨 것이며, 아래의 html코드에서 # #사이의 띄여쓰기는 없애야 한다. 위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버즈에서 라이프해커 블로그를 follow바랍니다. 아래와 같은 형식의 버튼은 구글의 공식 페이지에서 얻으실 수 있습니다. Follow on Buzz Also read: 티스토리/워드프레스/Blogger 블로그에 구글 버즈 공유 버튼 달기 티스토리에 카운터가 있는 구글 버즈Buzz 공유버튼 추가하기 최신 방법..추천 -
[비공개] Google구글 리더의 RSS 피드 재정리와 필터링에 관한 팁
Google구글 리더를 정보를 통합하고 수 집/정리하는 도구(Inbox)로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많은 량의 피드를 구독한다. 하지만 피드를 다 읽어야 한다는 압박감때문에 많은 글을 읽으려 애쓰며, 읽지 못한 글이 있어도 개인의 판단에 근거하여 피드를 읽은 상태로 표시하기(mark as read)등 작업을 한다. 아래의 팁은 Google구글 리더 사용자라면 꼭 한번 적용해볼 만하다. 1. 불필요한 RSS 피드 삭제하기 : 가장 먼저 착수할 수 있는 일은 업데이트를 정지한 일부 RSS 피드와 구독할 만한 가치가 없다고 판단되는 피드를 바로 정리하는 일이다. 구글 리더의 좌측 매뉴바에서 Trend를 클릭해 들어가면 피드 업데이트가 오래전에 중지된 일부 피드 리스트를 발견할 수 있는데 이 피드들을 우선 삭제할 수 있다. 2. 효율적인 3차원/4차원 피드 정리와 읽기 ..추천 -
[비공개] Nested Labels와 Message Sneak Peek - Gm..
지메일에 편지제목을 우클릭하여 편지내용의 일부를 미리보기할 수 있는 Message Sneak Peek기능이 추가되었다. 미리보기로 편지를 펼친 상태에서는 편지 보관(Archive), 편지 삭제하기(Delete)와 읽은 상태로 표기하기(Mark as read)가 직접 가능하다. 미리 보기만을 했던 편지는 당연히 읽은 상태로는 표시가 되지 않으며, 편지를 클릭해서 들어갔을 때만이 읽은 상태로 표시가 된다 :) GTDInbox에도 유사한 기능이 있으며, GTDInbox를 이미 활성화했을 경우에는 위의 실험실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개인적인 의견은 GTDInbox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 실험실 기능을 활성화시키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며, GTDInbox의 미리보기 기능으로는 더 많은 일을 할 수가 있다.GTDInbox의 미리보기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려면 GTDInbox (지메일의 좌측) 매뉴바에서 Preferences를 클릭한후 ..추천 -
[비공개] 크롬(Chrome)에서 사용가능한 GTDInbox for Gmail ..
GTDInbox for Gmail은 Gmail에서 일정관리와 GTD를 도와주는 Firefox 부가기능이다. GTDInbox공식 블로그는 4월2일 구글 크롬(Chrome)을 위한 GTDInbox 확장기능을 발표했다. 관련 확장기능을 구글 크롬에 설치해보았는데 인터페이스는 Firefox에서와 별다른 차이가 없다. 필요하신 분들은 설치해보시기 바란다. GTDInbox for Chrome – Be the first to see it![GTDInbox 공식 블로그]추천 -
추천
-
[비공개] 구글 리더가 추천해준 내 블로그와 유사한(?) 다른 블로그
구글 리더에서 라이프해커 블로그의 feed로 이동한후 "More like this"를 클릭하니 저의 블로그와 유사하다고 판단하는 블로그의 RSS feed들을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열거해주네요... 한달전 추가된 이 기능은 부동한 구글 리더 유저에 대해 개성화한 기능이기에 다른 분들께는 부동한 결과를 보여주리라 생각합니다.추천 -
[비공개] 현재 사용중인 지메일로 다른 한 Google계정의 Buzz에 글 올리기
현재 내가 사용중인 A라는 지메일 계정에서 B라는 구글(지메일)계정에 속하는 버즈로 글을 올릴 수도 있다. 먼저 지메일 설정에서 B계정의 이메일 주소를 현재의 A 계정에 추가해주면 발신자(From:) 주소에 B계정의 주소가 한개 더 나타나게 되며, 실지는 B계정에 로그인을 하지 않고도 A계정에서 B계정의 버즈로 글을 내보낼수 있게 된다. 수신자 주소는 항상 buzz@gmail.com으로 설정해주면 되며, 제목으로 쓴 내용만 버즈에 보여지게 되며, 본문에 글을 입력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이메일에 사진을 첨부하면 버즈에 사진으로 나타나게 된다. 위의 테스트에서 본인이 Buzz2Twitter를 사용하고 있기때문에 이메일을 보내자마자 Twitter에도 버즈의 글이 바로 동기화 되었다. 실지 이렇게 모바일이나 임의의 브라우저에서 메일 한통을 쓰는 것으로 내 구글 버즈와 ..추천 -
[비공개] 트위터는 140자로, 이메일은 5줄 이내로, 블로깅은 200자 이내로?
글을 간단명료하게 작성하는 것는 특별히 연습할 필요가 없고, Twitter에선 자동적으로 또 핍박적으로 완성된다. 제한된 140자 이내로 글을 쓰기 위해서 트위터에서 당신은 온갖 수단을 다 동원한다. 만약 어떤 이메일 시스템이 편지을 5줄이내로 쓰는 것만 허용한다면 그 효과는 어떻게 될가? 이메일을 5줄 이내로 쓰기를 실천해본 한 외국친구는 아래와 같은 좋은 점을 발견했다고 한다. 1. 메일을 더 빨리 읽을 수 있게 된다. 2. 가장 중요한 대목에 초점을 모아서 편지을 쓰게 된다. 3. 시간을 랑비해가면서 더 이상 긴 편지을 쓰지 않게 된다. 4. 같이 일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대화에 초점을 모으게 한다. 블로깅을 만약 200자 이내로 혹은 될 수록 짧은 글을 쓴다면 어떻게 될가? 1. 글을 더 빨리 읽고 지나갈 수 있을 것이다. 2. 블로그의 독자는 글의 주제..추천 -
[비공개] 소셜네트워크에 공유/북마크/언급된 내 블로그의 글 찾아보기
인간의 호기심, 본능은 역시 어쩔 수 없네요, 그렇죠? 재미삼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1. Delicious에 북마크된 내 블로그의 글 찾아보기 : 자세한 검색팁은 이곳에 있으며, 태그를 이용한 필터링도 가능합니다. 2. 마가린mar.gar.in에 북마크된 내 블로그의 글 찾아보기 : 마가린 검색팁 3. FriendFeed에서 언급된 내 블로그의 글 찾기 : FriendFeed 고급 검색팁 4. 구글 소셜 검색을 이용하기 : Google Social Search를 통해서 이용하면 내가 소셜네트워크에서 follow하고 있는 모든 친구들이 내 블로그의 글에 대해서 무슨 평가를 했는지 알아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5. 구글 리더에서 어떤 친구들이 내 블로그의 어떤 글들을 공유했는지 알아보기 : 이 검색은 내가 follow한 친구가 하나도 없다면 무의미 합니다. 처음 이 것을 검색해보고 완전 감동했습니다. 제 글을 공유..추천 -
[비공개] 구글 리더 실시간으로 간다 - pubsubhubbub 프로토콜 전면 ..
구글 리더가 pubsubhubbub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pubsubhubbub를 지원하는 Feed에 대해서는 1초전에 업데이트된 블로그의 글도 업데이트시킬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알기 쉽게 설명을 하자면 pubsubhubbub 프로토콜은 Atom/RSS Feed가 발행으로부터 Rss 리더기에까지 포착되는 시간을 실시간으로 단축시켜주는 최신기술이다. 현재 구글 자체의 Blogger, Feedburner, Google Alerts 등 서비스를 포함하여 모두 pubsubhubbub를 지원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현황은 이 곳의 도표를 보면 알 수 있다. 당신이 만약 구글 Blogger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블로그를 쓴다면 아무런 설치가 필요없이 실시간으로 구글 리더로 글을 내보낼 수 있게 되었으며, 워드프레스의 경우는 pubsubhubbub플러그인을 사용하면 된다. Via RWW 오늘까지의 Feedburner통계로 현재 라이프해커의 870명 구독자중 543..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