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공개] 개념없는 기사와 대뇌를 거치지 않은 트윗에 대한 생각
모 wiki사이트의 개념없는 ‘뉴스’ 화면 : 이미지가 커서 아래로 내려가는 바람에 블로그가 아주 이상하게 돼 버렸다. 1. 구글 G메일의 진화, “부메랑(Boomerang)” : 제목자체가 아주 이상하다. Gmail Labs도 아니고 구글이 자체의 Firefox, Chrome extension을 내놓은 것처럼 들릴 수 있는데 이 것은 내용을 잘 모르는 독자들을 완전 잘못 인도하는 것이다. 2. 누구든지 뉴스를 쓰고 또 고치세요 : 위키사전도 아니고 wiki의 형식으로 뉴스 사이트가 운영이 될 수 있는지도 의문이지만 이런 개념없는 글들이 많이 올라올 경우 누가 일일히 수정을 해주겠는가? 3. 대뇌를 거치지 않는 일부 트윗들 : 이런 개념없는 ‘뉴스’도 트윗으로 여러번 재발행이 된다는 것 자체는 다시 생각해봐야 할 일이다. Twitter가 아무리 1인 미디어라지만 마우스 클릭하나로 당신은 실..추천 -
[비공개] Xmarks for iPhone/iPad (Android 곧 지원예정)
Xmarks(초기 이름 Foxmarks)는 IE, Firefox, Google Chrome과 사파리(Mac OS) 등 주요한 브라우저를 모두 지원하며, 부동한 여러대의 컴퓨터간에 북마크와 비밀번호의 자동 동기화를 지원하는 웹 서비스이다. 집과 회사에서 부동한 북마크를 사용하고 모바일 기기에서는 또 다른 북마크를 사용한다면 비생산적이며 시간 랑비가 될 것이다. 컴퓨터에서 일을 함과 동시에 Xmarks가 자연스럽게 당신의 북마크와 비밀번호 입력 등을 기억해주고 싱크를 해주기때문에 웹서핑은 더욱 가볍고 즐겁게 진행될 수 있다. 아이폰과 iPad 사용자들도 8월초부터는 아주 저렴한 비용을 지불하고 Xmarks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아래의 자료는 Xmarks와 아이툰즈 앱 스토어의 페이지에서 가져왔다. Xmarks for iPhone This app is designed for both iPhone and iPad 가격 : $0.99 * Category: Productivity * Updat..추천 -
[비공개] Gmail에서 이메일/구글 Docs/Site를 같이 검색해보자
Gmail에서 내 이메일과 Google Docs 문서를 동시에 검색하려면 지메일 실험실의 설정에서 Apps Search를 활성화시키면 된다. 아래 검색 명령어에서 –type:mail을 빼면 검색결과에 조건을 만족시키는 이메일 리스트도 함께 동시에 검색결과로 보여지게 된다. 여기서 -type:mail는 이메일들을 검색결과에서 제외하기 위한 연산자로 보면 된다. Via 구글이 조만간 지메일/Docs와 Site뿐만아니라 모든 개인 데이터를 단 한번의 검색으로 통합하여 보여주는 것은 식은 죽 먹기일 것이다. 그 어떤 개인도 모두 임의의 단말기를 통해서 클라우드로 접속할 수 있는 시대가 오고 있으며, 사람들은 구름속의 삶에 점점 익숙해질 것이다. You might also like:Linux에서도 Gmail 영상채팅이 가능하게 됨 New Productivity – 지메일 다음번 대화로 자동진행(이동) 기능 Gmail Priority Inbox: 개인 생..추천 -
[비공개] LoadImpact – 서버부하를 측정해주는 온라인 테스트 서비스
사이트의 로딩속도가 느리거나 서버가 동시다발적 방문에 취약하다면 방문자를 잃게 되고 수익이 감소될 수 있다. 때문에 사이트(블로그)를 이용하여 수익을 내려한다면 우선 자체의 사이트의 서버의 한계에 대해 잘 알아볼 필요가 있다. LoadImpact.com이라고 하는 무료/유료 온라인 테스트 서비스를 이용하면 간단한 클릭 몇개로 서버가 부하에 견딜 수 있는 정도를 테스트할 수 있다. LoadImpact는 시물레이션으로 적어서 10/20/30/40/50명의 방문자를 테스트하려는 사이트로 보내서 동시 방문시의 서버의 반응속도를 측정하며, 몇백명 혹은 많아서 5000명의 방문자가 사이트를 동시에 방문할 때 서버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테스트해줄뿐만아니라 관련 테스트와 분석 결과를 기록해준다. 아래는 LoadImpact를 이용해서 라이프해커 (과거 티스토리)블로그를 테..추천 -
[비공개] The Art of Doing Nothing – 아무 것도 하지 않는..
다른 블로그에서 흥미롭게 읽어본 Zen Habits 블로그의 게시물에 대한 번역글의 서두 부분입니다. 우리들 이미 어떻게하면 ‘아무것도 하지않을 수 있는지’를 알고 있습니다. 그냥 드러누워서 시간을 낭비하는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아무것도 하지 않음을 수행하려고 할 때 다른 생각들이 끼어들어서 이러한 행위를 방해할 정도로 너무나도 바쁜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몸을 편안하게 해주는 ‘아무것도 하지않는 행위’ 를 즐길 수 없게 되었습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음은 단순한 시간의 낭비가 될 수도 있고, 사용하기에 따라서 예술의 한 형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어떻게 이러한 행위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당신의 삶을 향상시키고, 일을 할 때 스트레스를 날려버리고 더욱 생산적인 사람이 ..추천 -
[비공개] RSS를 지원하지 않는 사이트에 내가 남긴 댓글/질문에 대한 답변을 ..
이 글은 라이프해커 블로그 독자분께서 남겨주신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질문: “제가 전에는 컴퓨터를 그냥 신경안쓰고 막 썼는데.. 요즘 firefox addon, 유용 유틸리티 다운,원도우 각종 팁(단축키,각종 옵션변경 등등)으로 컴퓨터로 어떻게 하면 일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까… 관련 글들을 인터넷에서 많이 보고 있습니다. 그러는 과정 중에서 글쓴이들에게 덧글을 남겨 질문을 하고 있습니다. 답변을 달아주셨어도 제가 잊을수도 있으니 스티커메모지에 그 링크를 간단히 복사하는데여. 좀 번거럽네여. ;; 좀더 쉽게 할 수 있는 방법같은거 있을까여? 티스토리같은 경우, 티스토리 한번 로그인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을것같기도 한데.. 문제는 다른 사이트, 워드프레스 같은 경우입니다. rss를 지원하지 않는 사이트의 최신업데이트도 궁금한 경우도 있..추천 -
[비공개] Zen Habits 블로그가 2년만에 10만의 구독자수를 얻은 비결
2년전 라이프해커 블로그에 영어권 블로그중 Productivity 주제를 다루는 Top 블로그인 Zen babits와 그의 편집자 Leo Babauta를 소개한 적이 있다. Leo Babauta의 Zen To Done (ZTD)방법론과 The One Thing System 등 의견과 주장은 아주 흥미로우며, 개인 생산성 향상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에게 아주 적극적인 계발을 준다. 최근에 Leo Babauta는 “How I got 100,000 subscribers in two years“라는 무료 리포트를 발행했으며, 이 리포트는 A4용지로 프린트할 수 있는 사이즈로 모두 36페이지로 되어 있다. 아래의 글은 이 리포트에서 제30페이지의 13번 내용에 해당되며, 이 리포트상 중점으로 되는 부분이다. Zen Habits 블로그의 저자의 말에 의하면 4년전 블로그를 시작할 때 그도 역시 다른 일반 블로거와 마찬가지로 초기에는 구체적인 목표도 없었고 돈도 없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Zen H..추천 -
[비공개] 여러 구글 계정으로 동시 로그인하기 팁 및 알아둬야 할 유용한 상식들
여러 구글 계정으로 동시 로그인하기( Sign in to multiple Google Accounts) 기능의 지원으로 평소 동일한 웹브라우저에서 부동한 구글 계정으로 부동한 구글의 서비스에 동시 로그인하려던 구글 유저들은 복잡한 설정이나 hacks가 필요없이 여러가지로 상당히 편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서비스가 현재 완벽한 것은 아니며, 아래의 상식들은 꼭 알아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 여러개의 구글 계정으로 동일한 웹브라우저에 동시 로그인하기 기능을 실현하려면 google.com/accounts에 접속후 멀티 계정으로 로그인하기 기능을 활성화시키면 된다. 이 새로운 기능을 이용한다면 동일한 웹 브라우저에서, 많아서 부동한 3개의 구글(Gmail) 계정으로 아래의 몇가지 구글 서비스에 동시 접속하여 멀티 task가 가능하다. 현재 지원되는 구글 서비스들로는 구글 Calendar/구글 Code/지메..추천 -
[비공개] 한RSS 이래서야 써먹겠는가?
사실 한RSS에 대해서 별로 관심이 없는데 블로그를 옮기면서 RSS 피드가 제대로 수집되는지 이틀간 관찰을 하고 있었다. 현재는 한RSS에 워프블로그의 글이 수집되었으나 한편의 글은 여전히 수집되지 않았다. Google Reader는 모두 정상으로 잡혔다. 문제가 있어서 참다 못해 어제 한RSS 게시판에 올린 버그 리포트 구글 버즈에 올렸던 나의 Google Reader/한RSS/Bloglines 기능 비교 블로그에 쓰면 안되겠지만 한RSS 독자분들께 드리고 싶은 말 한마디가 있다면 내가 Google Reader를 추천하는 이유는 1. pubsubhubbub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실시간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2. Google Reader에선 더 효율적인 글 읽기(GTD)를 할 수 있으며, RSS에 대한 필터링도 가능하기때문이다.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하신가 ? No related posts.추천 -
[비공개] 라이프해커 블로그 3살
3년전 오늘에 실지 과거 블로그에 첫 포스트를 올렸습니다. 사실 2007년도 8월5일에 쓴 포스트는 제 블로그에 올린 두번 째 글이며, 첫 글은 8월 4일에 올렸습니다. 그러니 제 블로그는 오늘 8월 4일에 만 3살이 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3년전 쓴 첫 글은 이미 블로그에서 삭제되었지만 인터넷에서 제가 3년전 8월 4일 올린 글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은 있긴 있습니다. 누가 그 글을 찾아낼 수 있다면 이 곳에 답글을 남겨주세요 답안은 과거의 라이프해커 블로그에 있습니다. 제 글을 읽어주시는 분들 오늘도 즐거운 시간 되셨길 바랍니다 No related posts.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