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공개] 인신공양 (人身供養, human sacrifice)
인신공양 (人身供養, human sacrifice) 인신공양은 고대 대부분의 지역에서 이루어졌으나 남미 아즈텍, 이카와 중국 상나라에서 특히 대규모로 일어났다. https://namu.wiki/w/%EC%9D%B8%EC%8B%A0%EA%B3%B5%EC%96%91 인신공양 1. 개요 2. 설명 3. 실제 사례 3.1. 기원 3.2. 고대 지중해 문명 3.3. 유럽 3.4. 아메리카 3.4.1. 아즈텍 제국 3.5. 중국 3.6. 일본 3.7. 한국 3.8. 인도 아대륙 3.9. 종교 3.9.1. 유대교, 그리스도교 3.9.2. 불교 4. 매체 4.1. 여러 매체에 등장하는 인신공양의 예 1. 개요 人身供養 Human sacrifice 살아있는 사람을 의식용 제물로 바치는 것. 같은 말로 인신공희(人身供犧)라고 한다. 현재 대한민국을 포함해 대부분.......추천 -
[비공개] 순장(殉葬)
순장(殉葬) 현재까지 유물이나 기록으로 확인된 순장사실은 메소포타미아 우르, 고대 이집트, 중국 은나라, 춘추시대, 오(吳)나라, 진(秦)나라, 요(遙)나라, 원(元)나라, 명(明)나라, 청(淸)나라, 고조선, 부여, 신라, 일본, 가야, 스키타이, 바이킹, 잉카,마야, 아즈텍 등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C%88%9C%EC%9E%A5 순장 순장(殉葬)은 고대에 왕이나 귀족 등 고위층이 사망하였을 경우 처자와 노비(때때로 가축)를 장례식에서 함께 매장하던 일이다. 왕이 죽을 경우 그 수하의 시녀나 내관을 함께 매장하기도 했다. 순장되는 사람들은 스스로의 의지에 따라 택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강제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추천 -
[비공개] 순장(殉葬)
순장(殉葬) 현재까지 유물이나 기록으로 확인된 순장사실은 메소포타미아 우르, 고대 이집트, 중국 은나라, 춘추시대, 오(吳)나라, 진(秦)나라, 요(遙)나라, 원(元)나라, 명(明)나라, 청(淸)나라, 고조선, 부여, 신라, 일본, 가야, 스키타이, 바이킹, 잉카,마야, 아즈텍 등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C%88%9C%EC%9E%A5 순장 순장(殉葬)은 고대에 왕이나 귀족 등 고위층이 사망하였을 경우 처자와 노비(때때로 가축)를 장례식에서 함께 매장하던 일이다. 왕이 죽을 경우 그 수하의 시녀나 내관을 함께 매장하기도 했다. 순장되는 사람들은 스스로의 의지에 따라 택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강제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추천 -
[비공개] 순장(殉葬)
순장(殉葬) 현재까지 유물이나 기록으로 확인된 순장사실은 메소포타미아 우르, 고대 이집트, 중국 은나라, 춘추시대, 오(吳)나라, 진(秦)나라, 요(遙)나라, 원(元)나라, 명(明)나라, 청(淸)나라, 고조선, 부여, 신라, 일본, 가야, 스키타이, 바이킹, 잉카,마야, 아즈텍 등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C%88%9C%EC%9E%A5 순장 순장(殉葬)은 고대에 왕이나 귀족 등 고위층이 사망하였을 경우 처자와 노비(때때로 가축)를 장례식에서 함께 매장하던 일이다. 왕이 죽을 경우 그 수하의 시녀나 내관을 함께 매장하기도 했다. 순장되는 사람들은 스스로의 의지에 따라 택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강제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추천 -
[비공개] 생물학적 조상의 수
인간은 부모 양쪽으로부터 유전자를 받아 태어난다. 나의 부모도 조부모도 마찬가지로 2명의 부모로 부터 유전자를 받았으므로 나의 10대 생물학적 조상의 수는 , 2의 10승, 2의 n승 = 2^n 이다.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로는 지난 25만년간의 평균 1세대 기간은 26.9년이다. 이를 토대로 계산하면 (이런 추론이 틀렸다면 지적 바랍니다. 일단 첫 아이인지 여부가 확실하지 않고 중복정도 등을 엄밀하게 계산해야 하는데 세대간격을 40년으로 잡아도 큰 틀에서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1세대 조상수 2^1 = 2명 . 28년 5세대 조상수 2^5 = 32명 . 135년 10세대 조상수 2^10 = 1,024명 . 269년 ( 10^3 명) 20세대 조상수 2^20 .......추천 -
[비공개] 생물학적 조상의 수
인간은 부모 양쪽으로부터 유전자를 받아 태어난다. 나의 부모도 조부모도 마찬가지로 2명의 부모로 부터 유전자를 받았으므로 나의 10대 생물학적 조상의 수는 , 2의 10승, 2의 n승 = 2^n 이다.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로는 지난 25만년간의 평균 1세대 기간은 26.9년이다. 이를 토대로 계산하면 (이런 추론이 틀렸다면 지적 바랍니다. 일단 첫 아이인지 여부가 확실하지 않고 중복정도 등을 엄밀하게 계산해야 하는데 세대간격을 40년으로 잡아도 큰 틀에서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1세대 조상수 2^1 = 2명 . 28년 5세대 조상수 2^5 = 32명 . 135년 10세대 조상수 2^10 = 1,024명 . 269년 ( 10^3 명) 20세대 조상수 2^20 .......추천 -
[비공개] 생물학적 조상의 수
인간은 부모 양쪽으로부터 유전자를 받아 태어난다. 나의 부모도 조부모도 마찬가지로 2명의 부모로 부터 유전자를 받았으므로 나의 10대 생물학적 조상의 수는 , 2의 10승, 2의 n승 = 2^n 이다.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로는 지난 25만년간의 평균 1세대 기간은 26.9년이다. 이를 토대로 계산하면 (이런 추론이 틀렸다면 지적 바랍니다. 일단 첫 아이인지 여부가 확실하지 않고 중복정도 등을 엄밀하게 계산해야 하는데 세대간격을 40년으로 잡아도 큰 틀에서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1세대 조상수 2^1 = 2명 . 28년 5세대 조상수 2^5 = 32명 . 135년 10세대 조상수 2^10 = 1,024명 . 269년 ( 10^3 명) 20세대 조상수 2^20 .......추천 -
[비공개] 조선시대 양반, 노비, 무성씨(無姓氏) 비율
1. 전체 양반의 비율은 조선 초(1450년대) 약 1~2% 미만으로서, 지배계층의 지위를 공고히 가졌으나, 조선 후기 삼정의 문란으로 인한 공명첩, 납속책 등의 무분별한 발행이 이어져 많은 양인들이 양반의 지위를 획득하였고, 400년만인 철종 때(1850년대)에 이르러는 국민의 70%가 양반이 되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B%B0%98 2. 대구에서 발견된 자료(1690년)에 의하면, 양반의 비율은 호(戶, 가구 수) 기준으로 9.2%, 구(口, 사람 수) 기준으로 7.4%였다. 상민의 비율은 호 기준으로 53.7%, 구 기준으로 49.5%였다. 노비의 비율은 호 기준으로 37.1%, 구 기준으로 43.1%였다. https://ppss.kr/archives/207832 3. 조선 초.......추천 -
[비공개] 조선시대 양반, 노비, 무성씨(無姓氏) 비율
1. 전체 양반의 비율은 조선 초(1450년대) 약 1~2% 미만으로서, 지배계층의 지위를 공고히 가졌으나, 조선 후기 삼정의 문란으로 인한 공명첩, 납속책 등의 무분별한 발행이 이어져 많은 양인들이 양반의 지위를 획득하였고, 400년만인 철종 때(1850년대)에 이르러는 국민의 70%가 양반이 되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B%B0%98 2. 대구에서 발견된 자료(1690년)에 의하면, 양반의 비율은 호(戶, 가구 수) 기준으로 9.2%, 구(口, 사람 수) 기준으로 7.4%였다. 상민의 비율은 호 기준으로 53.7%, 구 기준으로 49.5%였다. 노비의 비율은 호 기준으로 37.1%, 구 기준으로 43.1%였다. https://ppss.kr/archives/207832 3. 조선 초.......추천 -
[비공개] 조선시대 양반, 노비, 무성씨(無姓氏) 비율
1. 전체 양반의 비율은 조선 초(1450년대) 약 1~2% 미만으로서, 지배계층의 지위를 공고히 가졌으나, 조선 후기 삼정의 문란으로 인한 공명첩, 납속책 등의 무분별한 발행이 이어져 많은 양인들이 양반의 지위를 획득하였고, 400년만인 철종 때(1850년대)에 이르러는 국민의 70%가 양반이 되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6%91%EB%B0%98 2. 대구에서 발견된 자료(1690년)에 의하면, 양반의 비율은 호(戶, 가구 수) 기준으로 9.2%, 구(口, 사람 수) 기준으로 7.4%였다. 상민의 비율은 호 기준으로 53.7%, 구 기준으로 49.5%였다. 노비의 비율은 호 기준으로 37.1%, 구 기준으로 43.1%였다. https://ppss.kr/archives/207832 3. 조선 초.......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