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공개] 크로마키 작업을 위해 색상
반응형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보통 크로마키 작업을 위해 녹색 배경에서 작업을 한다. 만약 녹색이 아닌 다른 색 배경에서 작업을 해야 한다면 어려움을 겪게 된다. 아래 예에서 설명하면 아래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여성 배경이 #3d3a37 계열이다. 여성이 #3d3a37 값과 비슷한 부분은 투명으로 변할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내 생각에 배경과 비슷한 색 계열이 머리카락과 눈썹에 많으니 그쪽이 투명이 많이 될 것 같다. 샷컷에서 위 오른쪽 그림인 여성이 나오는 영상의 배경을 지우는 크로마키 작업을 하면 여성에서 #3d3a37 계열은 투명으로 되고 아래처럼 나타났다. 크로마키 작업을 한 영상에서 보니 그림자가 만들어진 부분은 모두 투명이 된 것 같다. 참고로 샷컷 크로..추천 -
[비공개] 샷컷에서 크로마키 이해와 활용
반응형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포토샵 등에서 작업하는 아래 그림이 보이게 하려면 위 그림의 특정 부분을 투명하게 하면 된다. 샷컷 등 영상 프로그램에서 크로마키 작업을 하면 특정 영역을 투명하여 아래 영상을 보이게 하여 두 영상을 합성한다. 크로마키 작업은 영역의 색상을 선택해서 투명하게 하는 것이므로 작업 범위가 넓지 않다. 2D 그래픽 프로그램의 선택 도구로 영역을 만들어서 투명처리 하는 것이 아니다. 실수도 기상캐스터가 녹색 옷을 입었다가 크로마키 작업을 하는 녹색 배경과 일치해서 지워진 영상을 봤다. 만약 색이 아닌 선택 도구도 영역을 만들어 투명하게 만들 수 있었다면 그런 일은 없었을 것이다. 크로마키 작업은대부분 블루스크린이나..추천 -
[비공개] 나타났다 사라지게 만들기
반응형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나타났다 사라지기 효과를 만드는 것은 웬만한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이라면 가능하다. 나타났다 사라지는 효과는 타임라인에서 해당 영역이 재생 범위에 안에 존재하지를 설정하면 된다. 참고로 아래 애니메이션은 전체 프레임에서 90초 후에 나타나고 사라진다. 샷컷으로 만들었고 동영상을 애니메이션 GIF으로 변환했다. 윈도우10을 설치하면 기본적인 동영상 편집프로그램인 비디오편집기는 타임라인이 스토리보드다. 처음에 낯설었으나 많이 사용하다보니 익숙해졌다. 스토리보드(왼쪽:비디오편집기) - 타임라인(오른쪽:샷컷) 비디오편집기에서도 표시시간을 설정해서 얼마든지 아래 그림처럼 표시 시간 후에 다음영상이 나오게 ..추천 -
[비공개] 블렌더에서 원으로 텍스트 배치
반응형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개인, 공공기관, 기업 등에 무료 2D 프로그램인 김프, 잉크스케이프에서 텍스트를 원으로 배열하는 것에 대해 적었다. 이것을 다루다보니 마찬가지로 3D 그래픽 및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인 블렌더로 아래 그림처럼 텍스트를 원으로 배열하는 것이 다시 궁금했다. 참고로 블렌더로 개인, 공공기관, 기업 등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블렌더로 원으로 배열 그래서 예전에 내 다른 블로그에서 적었던 글을 찾았는데 2.91 버전에서는 그 방법으로 안 됐다. 현재 2.91을 사용하고 있는데 변경됐다는 것을 알았다. 그렇다고 많이 변경된 것은 아니다. 아래에서 언어를 한국어(Korean)로 할 수 있지만 대부분 강좌에서 영어를 사용하니 영어로 적으려..추천 -
[비공개] 잉크스케이프로 원으로 배치
반응형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김프를 사용해서 아래 그림 첫번째처럼 영문으로 원으로 텍스트를 배치하는 것을 했었다. 잉크스케이프를 사용해서도 하고 싶었다. 잉크스케이프를 사용해서 아래 그림 두 번째처럼 만들었고 잉크스케이프를 사용하면 김프보다 더 쉽다는 것을 알았다. 잉크스케이프에서 원을 그릴 줄 알면 되고 메뉴에서 텍스트를 원에 놓는 명령만 클릭하면 되는 것이었다. 김프와 잉크스케이프를 사용한 결과 아래는 김프(Gimp)에서 텍스트를 원으로 배열하는 것에 대한 글이다. 참고로 김프는 개인, 공공기관, 기업 등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그래픽 프로그램이고 어도비포토샵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김프 원형태로 텍스트 배치 아래 그림..추천 -
[비공개] 텍스트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는 효과
반응형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아래 애니메이션같이 샷컷을 이용해서 동영상 제작을 위한 텍스트가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는 효과를 만드는 것이다. 많은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에서 아래와 같이 텍스트가 이동하는 효과는 기본으로 제공한다. 아래 것을 하려면 샷컷에서 텍스트 삽입, 키 프레임 등 확실히 알아야 한다. 결과 1.작업할 동영상을 타임라인에 삽입한다. 2. 타임라인에 텍스트를 넣을 새로운 트랙을 만든다. 나는 타임라인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트랙 작업 > 비디오 트랙 추가를 클릭하여 트랙을 삽입했다. 트랙을 삽입하면 기본적으로 이름이 V2라고 된다. V2라는 이름 대신에 V2를 클릭하여 자막, text 등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타임라인에 두 ..추천 -
[비공개] 유료사이트를 이용하고 싶을 때
반응형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동영상, 사진, 음악 등 콘텐츠를 무료가 아닌 유료로 제공하는 플랫폼인 셔터스톡이라는 곳을 이용하고 싶을 때가 여러 번 있다. 그 여러 번 일 때에 대해 적으려 한다. 블로그를 하면서 유료로 사진, 동영상 등 콘텐츠를 구하는 것은 아깝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무료를 자주 이용한다. 무료로 구글 검색을 이용할 수 있지만 저작권 등을 고려하여 검색을 통하지 않고 대부분 픽사베이(Pixabay) 등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찾는다. 그런데 무료 사이트를 이용하면서 유료 사이트를 이용하고 싶을 때가 자주 있다. 대부분 한글을 지원하고 무료로 사진, 동영상 등을 제공하는 픽사베이를 이용할 것이다. 픽사베이 등 무료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추천 -
[비공개] 부트스트랩3,4,5에서 동영상 비율과 반응형
반응형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이 글에서 부트스트랩 3, 4, 5로 버전업되면서 유튜브 등 동영상을 어떤 비율로 반응형으로 처리하는지 적어보고자 한다. 부트스트랩 3 부트스트랩3에서는 유튜브를 비롯한 동영상을 16:9와 4:3 두 가지를 비율로 반응형으로 처리한다. 16:9인 경우 나는 3에서 반응형으로 만들기 위해 클래스에 embed-responsive embed-responsive-16by9라는 것을 써주어야 하므로 귀찮아 사용하지 않는다. 얼마 전까지 4:3 비율로 반응형으로 만들었던 소스를 사용했다. 왜냐하면 그 소스는 단지 클래스에 vid라고만 추가해주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래는 유튜브를 16:9와 4:3 비율로 반응형으로 처리해주는 소스다. 참고로 짜증 나게 삽입한 일부 태그가 사라진다. 위키..추천 -
[비공개] 워드프레스 동영상 배경 플러그인
반응형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이 글 배경에 보이는 것처럼 워드프레스에도 배경을 넣고 싶었다. 예전 워드프레스를 잠깐 다루었는데 워드프레스는 스킨(테마)이 HTML이 아니라 php라서 걱정됐다. 구글 검색을 통해 알아봤는데 워드프레스에 배경을 넣기 위해서는 mb.YTPlayer for background videos라는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간단히 해결된다는 것이었다. 이 글 배경에 보이는 영상은 유튜브다. HTML 태그에서 video 태그를 사용한 것이 아니다. 영상을 유튜브에서 퍼온 것이다. 유튜브에 영상을 올려 퍼오면 트래픽을 절약할 수 있다. 유튜브에 있는 뮤직비디오 등을 사용하고 싶었으나 그 영상을 화려해 글자가 안 보여 검정 영상을 배경으로 했다. 지금은 아니지만 예전에 이 블..추천 -
[비공개] 키프레임을 이용한 텍스트 슬라이드 인 및 아웃
반응형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며칠 전, 동영상 슬라이드 인 및 아웃 효과를 하는 법을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아래 애니메이션처럼 글자를 슬라이드 인 및 아웃 효과를 줄려고 한다. 동영상의 경우 사전 설정을 이용하면 쉽게 슬라이드 인과 아웃 효과를 할 수 있었다. 텍스트 슬라이드 인과 아웃 그렇다고 사전 설정을 이용 못하는 것은 아니다. 사전 설정으로 효과를 만들 경우 텍스트 속성에 따라 사전 설정 수치를 변경해야 한다. 사전 설정으로 슬라이드 인과 아웃 예전 샷컷으로 텍스트 삽입하는 것을 적을 때 텍스트를 바로 동영상에도 넣을 수 있지만 트랙을 만들어서 넣는 것이 수정 등에 좋다고 했다. 텍스트를 바로 넣으면 나중에 수정 등을 할 수 없다고 했다..추천